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황달을 나타내는 질환을 총칭하며, 생후 첫 주 내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된다. 대부분 큰 문제 없이 좋아지지만 심한 황달을 치료하지 않는 경우 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발병위치 : 전신


황달은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빌리루빈은 수명을 다한 혈색소(적혈구의 헤모글로빈)로부터 생성되어 간에서 대사를 거쳐 장으로 배설되게 된다. 신생아는 적혈구의 수명이 짧아 빌리루빈의 생성이 증가하고 간 대사가 미숙하므로 처리 능력이 떨어져서 생후 2~3일부터 황달을 보이다가 5~7일경 좋아지는 경우가 흔한데 이를 ‘신생아 생리적 황달’이라고 한다. 여기에 적혈구 파괴가 늘어나는 용혈성 질환, 감염, 머리혈종 등 빌리루빈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요인과 간 대사를 저해하는 요인이 더해지면 혈중 빌리루빈이 생리적인 기준을 넘어 증가하게 되고 치료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이 외 다른 원인으로 인한 신생아 황달은 ‘기타 신생아 황달’로 분류한다.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황달이 얼굴에서 시작하여 복부, 발까지 진행된다. 육안으로 관찰한 소견이 혈중치를 대신할 정도로 수치의 신뢰도가 높지 않다. 원인에 따라 출생 시부터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다. 생리적 황달의 경우는 생후 2~3일부터 보이다가 5~7일경 좋아진다.

진단/
황달이 시작된 시기, 전신 상태, 수유량, 체중 증감 상태, 모유 수유 여부, 경피용 황달 측정기를 사용하거나 혈액을 채취하여 빌리루빈 수치 확인 및 혈액형 등의 병력이나 진찰 소견, 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한다.


간접 빌리루빈이 증가한 경우 핵황달 방지를 위하여 광선치료를 한다. 광선치료는 빌리루빈이 많이 흡수하는 파장의 광선을 쬐어서 빌리루빈의 변형을 가져와 간의 대사를 거치지 않고 위장관과 콩팥으로 배설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경과/합병
혈색소로부터 효소 작용을 거쳐 생성된 빌리루빈은 간접 빌리루빈이라고 하며 간접 빌리루빈이 간으로 운반되어 대사가 되면 직접 빌리루빈이 된다. 간접 빌리루빈은 신경 독성이 있어서 혈중 수치가 과도하게 상승하면 혈액-뇌 장벽을 넘어가서 핵황달을 일으킬 수 있다.

식이요법/생활가이
칼로리 부족, 탈수 등이 악화 요인이므로 신생아가 먹고 있는 모유나 분유의 섭취에 힘써야 한다. 신생아는 신생아실 퇴원 후에 황달이 시작되거나 치료받고 퇴원했더라도 다시 심해질 수 있으므로 관찰이 필요하다. 미숙아는 혈중 빌리루빈이 더 낮은 상태에서도 신경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육안적으로 황달이 심해지는 것으로 보이면 외래방문을 서두르는 것이 안전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ic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